안녕하세요, 오늘은
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알아두면 좋을 고사성어 100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. 일상 대화, 글쓰기, 시험 준비에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 저장하기를 원하시면 아래 파일을 다운받으시면 됩니다.
인생의 지혜를 담은 고사성어
1. 금석지감(金石之感)
- 한자: 金石之感
- 의미: 쇠와 돌이 부딪쳐 소리가 나듯이 서로 만나 깊은 감동을 나눔
- 용례: "오랜만에 만난 고향 친구와의 대화는 금석지감을 느끼게 했다."
2. 각골난망(刻骨難忘)
- 한자: 刻骨難忘
- 의미: 뼈에 새길 정도로 잊기 어려운 은혜나 감정
- 용례: "선생님의 가르침은 각골난망의 은혜입니다."
3. 주경야독(晝耕夜讀)
- 한자: 晝耕夜讀
- 의미: 낮에는 농사를 짓고 밤에는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,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꿋꿋이 공부함
- 용례: "그는 주경야독하며 의사가 되는 꿈을 이루었다."
4. 일취월장(日就月將)
- 한자: 日就月將
- 의미: 나날이 달마다 성장하고 발전함
- 용례: "그녀의 피아노 실력은 일취월장하고 있다."
5. 과유불급(過猶不及)
- 한자: 過猶不及
- 의미: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, 적당함의 중요성을 강조
- 용례: "운동도 과유불급이니 적절한 휴식이 필요하다."
6. 우이독경(牛耳讀經)
- 한자: 牛耳讀經
- 의미: 소의 귀에 경전을 읽어 준다는 뜻으로, 아무리 가르쳐도 알아듣지 못함
- 용례: "일부 학생들에게 설명하는 것은 우이독경 같았다."
7. 유비무환(有備無患)
- 한자: 有備無患
- 의미: 미리 준비가 되어 있으면 근심이 없음
- 용례: "유비무환의 정신으로 항상 비상금을 준비해 둔다."
8. 다다익선(多多益善)
- 한자: 多多益善
- 의미: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다
- 용례: "친구는 다다익선이라고, 새 동아리에 가입했다."
9. 역지사지(易地思之)
- 한자: 易地思之
- 의미: 처지를 바꾸어 생각해 본다
- 용례: "갈등이 생기면 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상대방을 이해해보자."
10. 설상가상(雪上加霜)
- 한자: 雪上加霜
- 의미: 눈 위에 서리가 내린다는 뜻으로, 어려움이 겹치는 상황
- 용례: "회사 부도 후 건강마저 악화되어 설상가상이었다."
11. 새옹지마(塞翁之馬)
- 한자: 塞翁之馬
- 의미: 인생의 길흉화복은 예측할 수 없음
- 용례: "낙방이 오히려 더 좋은 기회로 이어진 것은 새옹지마라 할 수 있다."
12. 구사일생(九死一生)
- 한자: 九死一生
- 의미: 아홉 번 죽을 고비를 넘기고 한 번 살아남을 만큼 위험한 상황
- 용례: "산악사고로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았다."
13. 일석이조(一石二鳥)
- 한자: 一石二鳥
- 의미: 한 가지 행동으로 두 가지 이득을 얻음
- 용례: "아침 운동은 건강과.다이어트에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."
14. 천우신조(天佑神助)
- 한자: 天佑神助
- 의미: 하늘과 신의 도움
- 용례: "마지막 순간 골을 넣은 것은 천우신조였다."
15. 초록동색(草綠同色)
- 한자: 草綠同色
- 의미: 풀과 녹색이 같다는 뜻으로, 서로 같은 부류의 사람들을 의미
- 용례: "저 두 사람은 초록동색이라 늘 의견이 같다."
16. 고진감래(苦盡甘來)
- 한자: 苦盡甘來
- 의미: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, 고생 끝에 좋은 결과가 옴
- 용례: "긴 취업준비 끝에 합격한 것은 고진감래였다."
17. 이심전심(以心傳心)
- 한자: 以心傳心
- 의미: 마음과 마음이 서로 통함
- 용례: "오랜 친구들 사이에는 이심전심으로 말하지 않아도 서로를 이해한다."
18. 백년하청(百年河淸)
- 한자: 百年河淸
- 의미: 매우 드문 일이나 불가능에 가까운 일
- 용례: "그 두 집안의 화해는 백년하청과 같았다."
19. 동문서답(東問西答)
- 한자: 東問西答
- 의미: 질문과 관계없는 엉뚱한 대답
- 용례: "그의 대답은 항상 동문서답이라 대화가 어렵다."
20. 금의환향(錦衣還鄕)
- 한자: 錦衣還鄕
- 의미: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, 출세하여 고향에 돌아감
- 용례: "그는 대기업 임원이 되어 금의환향했다."
학문과 배움에 관한 고사성어
21. 학수고대(鶴首苦待)
- 한자: 鶴首苦待
- 의미: 학의 목처럼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림
- 용례: "합격 발표를 학수고대하고 있다."
22. 십년공부 도로아미타불(十年工夫 徒勞阿彌陀佛)
- 한자: 十年工夫 徒勞阿彌陀佛
- 의미: 오랜 노력이 헛수고가 됨
- 용례: "시험 직전 모든 것을 잊어버려 십년공부 도로아미타불이 되었다."
23. 온고지신(溫故知新)
- 한자: 溫故知新
- 의미: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알게 됨
- 용례: "역사는 온고지신의 지혜를 주는 학문이다."
24. 괄목상대(刮目相對)
- 한자: 刮目相對
- 의미: 눈을 비비고 다시 보게 될 정도로 크게 발전한 모습
- 용례: "오랜만에 만난 후배의 실력에 괄목상대할 정도였다."
25. 독토성벽(獨土成壁)
- 한자: 獨土成壁
- 의미: 혼자서 담을 쌓는다는 뜻으로, 혼자 힘으로 어려운 일을 해내는 것
- 용례: "그는 독토성벽의 자세로 창업에 성공했다."
26. 불철주야(不撤晝夜)
- 한자: 不撤晝夜
- 의미: 밤낮을 가리지 않고 쉬지 않음
- 용례: "그는 불철주야 공부하여 시험에 합격했다."
27. 학이시습(學而時習)
- 한자: 學而時習
- 의미: 배우고 때때로 익힘
- 용례: "학이시습의 정신으로 꾸준히 복습하는 것이 중요하다."
28. 난형난제(難兄難弟)
- 한자: 難兄難弟
- 의미: 형과 아우의 능력이 비슷하여 누가 더 나은지 구별하기 어려움
- 용례: "두 팀은 난형난제의 실력을 보여주고 있다."
29. 일망무제(一望無際)
- 한자: 一望無際
- 의미: 끝없이 멀리 보이는 광경
- 용례: "바다를 바라보니 일망무제의 풍경이 펼쳐졌다."
30. 등용문(登龍門)
- 한자: 登龍門
- 의미: 출세의 관문
- 용례: "그 대학은 많은 인재의 등용문이 되었다."
31. 고군분투(孤軍奮鬪)
- 한자: 孤軍奮鬪
- 의미: 외롭게 홀로 분투함
- 용례: "어려운 환경에서도 고군분투하며 꿈을 이루었다."
32. 사필귀정(事必歸正)
- 한자: 事必歸正
- 의미: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 길로 돌아감
- 용례: "비리는 결국 드러나니 사필귀정이다."
33. 기우일소(杞憂一笑)
- 한자: 杞憂一笑
- 의미: 쓸데없는 걱정거리를 한바탕 웃음으로 날려버림
- 용례: "결과가 좋아 그간의 걱정이 기우일소가 되었다."
34. 운수대통(運數大通)
- 한자: 運數大通
- 의미: 운이 크게 트임
- 용례: "올해는 운수대통하여 좋은 일이 많았다."
35. 망양지탄(亡羊之歎)
- 한자: 亡羊之歎
- 의미: 양을 잃고 우리를 고치는 것과 같은 뒤늦은 후회
- 용례: "시험 후의 공부는 망양지탄에 불과하다."
36. 노심초사(勞心焦思)
- 한자: 勞心焦思
- 의미: 마음을 쓰며 애타게 걱정함
- 용례: "자식의 시험 결과를 기다리며 노심초사했다."
37. 점입가경(漸入佳境)
- 한자: 漸入佳境
- 의미: 차츰 좋은 상태로 들어감
- 용례: "공연은 후반부로 갈수록 점입가경이었다."
38. 백양난파(百羊難把)
- 한자: 百羊難把
- 의미: 양 백 마리를 지키기 어렵다는 뜻으로, 많은 일을 한꺼번에 처리하기 어려움
- 용례: "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은 백양난파다."
39. 기사회생(起死回生)
- 한자: 起死回生
- 의미: 죽었던 것이 살아남
- 용례: "파산 위기의 회사가 신제품으로 기사회생했다."
40. 진퇴양난(進退兩難)
- 한자: 進退兩難
- 의미: 나아가거나 물러서거나 둘 다 어려운 상황
- 용례: "양쪽 모두에게 약속을 한 그는 진퇴양난에 빠졌다."
인간관계에 관한 고사성어
41. 관포지교(管鮑之交)
- 한자: 管鮑之交
- 의미: 관중과 포숙아의 사귐처럼 서로 믿고 이해하는 깊은 우정
- 용례: "30년 지기인 그들은 관포지교를 자랑한다."
42. 각자무치(各自無恥)
- 한자: 各自無恥
- 의미: 각자 부끄러움이 없다는 뜻으로, 서로가 염치없이 행동함
- 용례: "정치인들의 비방전은 각자무치의 모습을 보여준다."
43. 타산지석(他山之石)
- 한자: 他山之石
- 의미: 다른 산의 돌이라도 자신의 옥을 갈 수 있다는 뜻으로, 남의 장점을 배워 자신의 부족함을 보완함
- 용례: "경쟁사의 실패는 우리에게 타산지석이 되었다."
44. 인과응보(因果應報)
- 한자: 因果應報
- 의미: 모든 행위에는 그에 맞는 결과가 따름
- 용례: "그의 몰락은 과거 행동에 대한 인과응보다."
45. 견원지간(犬猿之間)
- 한자: 犬猿之間
- 의미: 개와 원숭이처럼 사이가 나쁜 관계
- 용례: "두 부서는 오래전부터 견원지간이었다."
46. 동병상련(同病相憐)
- 한자: 同病相憐
- 의미: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
- 용례: "같은 처지의 구직자들이 동병상련의 정을 나누었다."
47. 결초보은(結草報恩)
- 한자: 結草報恩
- 의미: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
- 용례: "그는 은인에게 결초보은의 마음으로 도움을 주었다."
48. 혼연일체(渾然一體)
- 한자: 渾然一體
- 의미: 완전히 하나가 됨
- 용례: "팀원들이 혼연일체가 되어 프로젝트를 성공시켰다."
49. 수어지교(水魚之交)
- 한자: 水魚之交
- 의미: 물과 물고기의 관계처럼 떨어질 수 없는 깊은 사이
- 용례: "그들은 수어지교의 사이로 서로를 돕는다."
50. 사면초가(四面楚歌)
- 한자: 四面楚歌
- 의미: 사방이 적으로 둘러싸인 위태로운 상황
- 용례: "회사가 경쟁자들에게 둘러싸여 사면초가의 상황이 되었다."
51. 금란지교(金蘭之交)
- 한자: 金蘭之交
- 의미: 쇠와 난초처럼 변치 않는 친구 사이
- 용례: "학창 시절부터 이어진 금란지교가 우리의 자랑이다."
52. 감은지기(感恩之記)
- 한자: 感恩之記
- 의미: 은혜를 입은 일을 마음에 새겨 잊지 않음
- 용례: "그는 감은지기의 마음으로 스승을 찾아뵈었다."
53. 이구동성(異口同聲)
- 한자: 異口同聲
- 의미: 여러 사람이 입은 다르지만 같은 소리를 냄
- 용례: "참석자들은 이구동성으로 그 의견에 찬성했다."
54. 갑론을박(甲論乙駁)
- 한자: 甲論乙駁
- 의미: 서로 자기 주장을 내세우며 논쟁함
- 용례: "회의는 갑론을박으로 시간만 허비했다."
55. 사생결단(死生決斷)
- 한자: 死生決斷
- 의미: 죽고 사는 것을 돌보지 않고 결단을 내림
- 용례: "그는 사생결단의 각오로 창업에 뛰어들었다."
56. 일장춘몽(一場春夢)
- 한자: 一場春夢
- 의미: 한바탕 봄꿈이라는 뜻으로, 허무하게 끝난 일이나 덧없는 인생을 비유
- 용례: "그의 성공은 일장춘몽으로 끝났다."
57. 좌정우사(左正右思)
- 한자: 左正右思
- 의미: 왼쪽은 바르게, 오른쪽은 생각하며 처신함
- 용례: "좌정우사의 자세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."
58. 가인박명(佳人薄命)
- 한자: 佳人薄命
- 의미: 아름다운 사람의 운명이 기구함
- 용례: "그녀의 삶은 가인박명이라 할 만큼 고단했다."
59. 원앙침불설(鴛鴦針不設)
- 한자: 鴛鴦針不設
- 의미: 원앙새들이 짝지어 자는 것을 방해하는 바늘을 놓지 않는다는 뜻으로, 남의 화목한 부부 사이를 방해하지 않음
- 용례: "원앙침불설의 마음으로 그들의 화해를 도왔다."
60. 내우외환(內憂外患)
- 한자: 內憂外患
- 의미: 안으로는 걱정거리가 있고 밖으로는 근심거리가 있음
- 용례: "그 나라는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다."
처세와 리더십에 관한 고사성어
61. 사심없다(捨心없다)
- 한자: 捨心없다
- 의미: 버릴 마음이 없다는 뜻으로, 공정하고 사사로운 마음이 없음
- 용례: "사심없이 판단하면 그의 능력이 뛰어나다."
62. 중구난방(衆口難防)
- 한자: 衆口難防
- 의미: 여러 사람의 입을 막기 어렵다는 뜻으로, 여론이나 소문을 막기 어려움
- 용례: "그 소문은 중구난방이라 진실이 가려졌다."
63. 동고동락(同苦同樂)
- 한자: 同苦同樂
- 의미: 고통과 즐거움을 함께 함
- 용례: "동고동락하며 사업을 일궈낸 동료들이다."
64. 이전투구(泥田鬪狗)
- 한자: 泥田鬪狗
- 의미: 진흙탕에서 싸우는 개들처럼 서로 더럽혀지는 싸움
- 용례: "정치인들의 논쟁은 이전투구에 불과했다."
65. 좌고우면(左顧右眄)
- 한자: 左顧右眄
- 의미: 왼쪽과 오른쪽을 돌아본다는 뜻으로,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망설임
- 용례: "중요한 결정 앞에서 좌고우면하지 말아야 한다."
66. 화룡점정(畵龍點睛)
- 한자: 畵龍點睛
- 의미: 그림의 용에 눈동자를 그려 넣어 생동감을 주는 것처럼, 사물의 핵심을 더함
- 용례: "그의 마지막 제안이 화룡점정이 되었다."
67. 수구초심(首丘初心)
- 한자: 首丘初心
- 의미: 여우가 죽을 때 자신이 태어난 언덕을 향한다는 뜻으로, 고향이나 본래의 마음을 잊지 않음
- 용례: "성공 후에도 수구초심의 자세를 잃지 않았다."
68. 오십보백보(五十步百步)
- 한자: 五十步百步
- 의미: 오십 걸음이나 백 걸음이나 다 도망친 것은 마찬가지라는 뜻으로,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음
- 용례: "두 회사의 제안은 오십보백보로 큰 차이가 없다."
69. 부화뇌동(附和雷同)
- 한자: 附和雷同
- 의미: 자신의 주관 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감
- 용례: "부화뇌동하지 말고 자신의 생각을 말하라."
70. 맹사성호두(孟思誠好頭)
- 한자: 孟思誠好頭
- 의미: 맹사성의 머리라는 뜻으로, 총명하고 지혜로움
- 용례: "그는 맹사성호두라 할 만큼 판단력이 뛰어나다."
71. 조삼모사(朝三暮四)
- 한자: 朝三暮四
- 의미: 겉으로는 다른 것 같지만 실제로는 같은 것
- 용례: "두 정당의 정책은 조삼모사로 실질적 차이가 없다."
72. 경국지색(傾國之色)
- 한자: 傾國之色
- 의미: 나라를 기울일 만큼 아름다운 미모
- 용례: "그녀는 경국지색이라 불릴 만큼 아름답다."
73. 형설지공(螢雪之功)
- 한자: 螢雪之功
- 의미: 반딧불과 눈빛에 의지해 공부한다는 뜻으로, 어려운 환경에서도 열심히 공부함
- 용례: "그의 성공은 형설지공의 결실이다."
74. 청출어람(靑出於藍)
- 한자: 靑出於藍
- 의미: 쪽에서 나온 푸른색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, 제자가 스승보다 뛰어남
- 용례: "그 제자는 청출어람으로 스승의 기대를 뛰어넘었다."
75. 구름과 낙락장송(落落長松)
- 한자: 落落長松
- 의미: 높고 곧게 자란 소나무처럼 고고한 품격
- 용례: "그는 낙락장송과 같은 기개를 가진 사람이다."
76. 일일신우일신(日日新又日新)
- 한자: 日日新又日新
- 의미: 날마다 새롭고 또 날마다 새로워짐
- 용례: "일일신우일신의 자세로 끊임없이 발전해야 한다."
77. 호시탐탐(虎視眈眈)
- 한자: 虎視眈眈
- 의미: 호랑이가 먹이를 노려보듯이 기회를 엿봄
- 용례: "경쟁사는 우리 기술을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."
78. 점진적 개혁(漸進的 改革)
- 한자: 漸進的 改革
- 의미: 조금씩 차츰차츰 개혁을 진행함
- 용례: "급격한 변화보다는 점진적 개혁이 필요하다."
79. 막역지우(莫逆之友)
- 한자: 莫逆之友
- 의미: 서로 거스르지 않는 친구
- 용례: "그들은 어려움 속에서도 막역지우로 지냈다."
80. 일희일비(一喜一悲)
- 한자: 一喜一悲
- 의미: 한번 기쁘고 한번 슬픔. 감정의 변화가 심함
- 용례: "주식투자는 일희일비하기 쉬운 일이다."
인생의 시련과 극복에 관한 고사성어
81. 백전노장(百戰老將)
- 한자: 百戰老將
- 의미: 수많은 전투를 경험한 노련한 장수
- 용례: "그는 비즈니스 세계의 백전노장이다."
82. 대기만성(大器晩成)
- 한자: 大器晩成
- 의미: 큰 그릇은 늦게 완성된다는 뜻으로, 훌륭한 인물이 늦게 성공함
- 용례: "그는 50대에 성공한 대기만성형 인물이다."
83. 순망치한(脣亡齒寒)
- 한자: 脣亡齒寒
- 의미: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, 서로 밀접하게 의존하는 관계
- 용례: "두 회사는 순망치한의 관계로 협력해야 한다."
84. 개과천선(改過遷善)
- 한자: 改過遷善
- 의미: 잘못을 고치고 선한 쪽으로 옮겨감
- 용례: "그는 과거의 실수를 인정하고 개과천선했다."
85. 권토중래(捲土重來)
- 한자: 捲土重來
- 의미: 흙을 일으켜 다시 온다는 뜻으로, 실패 후 다시 일어남
- 용례: "첫 실패 후 그는 권토중래하여 성공했다."
86. 좌절금지(座折琴止)
- 한자: 座折琴止
- 의미: 자리에 앉아 거문고를 부러뜨려 연주를 그만둠. 뜻을 이루지 못해 포기함
- 용례: "어려움에 부딪혀도 좌절금지하지 말고 끝까지 도전하라."
87. 천신만고(千辛萬苦)
- 한자: 千辛萬苦
- 의미: 천 가지 괴로움과, 만 가지 어려움
- 용례: "천신만고 끝에 등정에 성공했다."
88. 불철주야(不撤晝夜)
- 한자: 不撤晝夜
- 의미: 밤낮을 가리지 않고 쉬지 않음
- 용례: "그는 불철주야 노력하여 목표를 이루었다."
89. 위기일발(危機一髮)
- 한자: 危機一髮
- 의미: 위태로운 순간이 머리카락 하나의 차이처럼 아슬아슬함
- 용례: "경기는 위기일발의 상황에서 역전승을 거두었다."
90. 백척간두(百尺竿頭)
- 한자: 百尺竿頭
- 의미: 백 자 높이의 장대 끝에 선 것처럼 위태로운 상황
- 용례: "회사는 백척간두의 위기에 처해 있다."
91. 사즉생(死卽生)
- 한자: 死卽生
- 의미: 죽음을 각오하면 오히려 삶을 얻는다
- 용례: "사즉생의 자세로 임하니 두려움이 사라졌다."
92. 만시지탄(晩時之歎)
- 한자: 晩時之歎
- 의미: 때가 늦었음을 한탄함
- 용례: "정년을 앞두고 새 일을 시작하려니 만시지탄이 난다."
93. 파죽지세(破竹之勢)
- 한자: 破竹之勢
- 의미: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처럼 매우 빠르고 강한 기세
- 용례: "팀은 파죽지세로 연승을 이어갔다."
94. 이심위심(以心爲心)
- 한자: 以心爲心
- 의미: 마음으로써 마음을 삼는다는 뜻으로, 상대방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처럼 여김
- 용례: "이심위심의 자세로 고객을 대해야 한다."
95. 수수방관(袖手傍觀)
- 한자: 袖手傍觀
- 의미: 팔짱을 끼고 곁에서 구경만 함
- 용례: "문제 해결에 수수방관만 할 것이 아니라 동참해야 한다."
96. 구우일모(九牛一毛)
- 한자: 九牛一毛
- 의미: 아홉 마리 소의 털 중 한 개라는 뜻으로, 아주 작은 부분
- 용례: "전체 예산에서 이 금액은 구우일모에 불과하다."
97. 일단락(一段落)
- 한자: 一段落
- 의미: 한 부분이 끝남
- 용례: "첫 단계가 일단락되었으니 다음 계획을 세우자."
98. 절치부심(切齒腐心)
- 한자: 切齒腐心
- 의미: 이를 갈며 마음을 썩인다는 뜻으로, 몹시 분하고 원통함
- 용례: "그는 실패 후 절치부심하며 재도전을 준비했다."
99. 호구지책(糊口之策)
- 한자: 糊口之策
- 의미: 입에 풀칠할 방법이라는 뜻으로, 겨우 먹고살 방법
- 용례: "그 일은 호구지책에 불과했다."
100. 상전벽해(桑田碧海)
- 한자: 桑田碧海
- 의미: 뽕나무 밭이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, 세상의 큰 변화
- 용례: "30년 만에 방문한 고향은 상전벽해였다."
마치며
고사성어는 오랜 세월 동안 우리 선조들의 지혜와 경험이 담긴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. 단순한 한자 암기를 넘어 그 의미와 적용법을 이해한다면, 우리의 언어 생활은 더욱 풍요로워질 것입니다. 이 100개의 고사성어가 여러분의 대화, 글쓰기, 그리고 인생의 지침이 되기를 바랍니다.
- 본 글은 한국어 능력 향상과 교양 함양을 위해 작성되었으며, 학습 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
- 댓글로 알고 계신 다른 고사성어도 공유해 주시면 함께 배워가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.
함께 읽으면 좋은 글
사자성어 1000개 명언 모음
사자성어 1000개 명언 모음 사자성어는 짧고 간결한 네 글자로 이루어진 한자어로, 오랜 역사와 문화 속에서 축적된 지혜와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. 이 사자성어들은 삶의 다양한
silverstar7.tistory.com
면접 질문 리스트, 면접 예상 질문 100
다음은 면접 예상질문 100선입니다. 직무 공통/인성/직무역량/상황대처/창의성/조직적합성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정리했어요. 아래 목록을 참고하시면서 자신만의 답변을 준비해보세요. 저장하
silverstar7.tistory.com
순우리말 이름 한글 이름 짓기 : 남자 순우리말 이름, 여자 순우리말 이름
순우리말 이름 한글 이름 짓기 : 남자 순우리말 이름, 여자 순우리말 이름 우리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? 아이의 미래를 생각하며 의미 있고 아름다운 이름
silverstar7.tistory.com